2015년 12월 21일 월요일

외벽미장마감

뿜칠계마감공사

드라이 비트 - 외부마감
외단열 공법 마감용 자재
주요재료 : 아크릴수지, 화악약품, 특수규사





2차 대전이후 처음 등장함.
독일에서 개발함. 외관을 가장빠르고 가장 저렴하게 처리하기 위해 만들어짐

장점. 가격이 저렴, 세련됨
단점. 떨어져나갈 가능성이 매우높음, 화재에 취약함(내화성능을 갖춘제품 사용)


내화성능이 없는 제품을 사용한 경우 화재에 취약 ( 의정부 화재 )

인술레이션피스너 방식


몰타 반죽으로 충분히 처리가능한경우 사용하지 않는다(건축비 상승요인)


회벽 ( 회반죽 - stucco ) - 내,외부 마감

제품명 : 스타코,스타코플렉스(고무재질),테라코트,핸디코트
표면이 오돌토돌한 미장



파손면이 발생할수 있음. 주로 2층에 시공, 실내계단마감으로 활용

-5도이하, 습도 85%이상, 강우,강풍시 작업금지
-색상품질확인해야됨
-창문이나 다른 마감이 오염되지 않게 보양을 해야함. 창호주위는 코킹면가지 보양
-견본시공 후 시공
-완전 양생 시까지 오염물질을 차단시켜야됨.


보양후 처리

모서리면에는 코너비드를 사용(외벽용)



2차 뿜칠에는 텍스쳐작업




2015년 12월 20일 일요일

미장,비드, 창문

미장

엘리베이터 설치
미장면이 두꺼우면 엘리베이터에 균열발생 할 수 있음
미장면이 두꺼워지는 이유 : 개구부를 너무 넓게 뚫었을때.







비드

기둥이나 모서리 따위를 보호하려고 밀착시켜 붙이는 쇠붙이.

라스

비드의 접착면

종류
아연비드
알루미늄비드

코너비드가 대부분



게이지 비드
미장을 바르면서 생기는 오차를 방지하기 위해 기준을 정해주는 비드, 가운데가 튀어나온 형태

처마도리 비드

베이스 비드

조인트 비드
천장 벽체 사이에 붙이는 비드. 구조체와 미장이 수축되면서 생기는 마찰을 방지




베이스 홈 비드
위에 있는 마감면과 아래에 있는 마감면을 분류시켜줌

스톱비드
위에 있는 재질과 바닥면의 재질을 분류, 베이스 홈 비드와 비슷

규준대
기준면을 잡아줌

철근콘리트 창호

PW(플라스틱창호)라고 지칭함.
단열재의 배치를 잘 생각해야됨


방충망레일과 외부 석재 사이에는 단열재를 취해도 되고 그 표면은 접착재를 통해 알루미늄이나 혹은 목재 같은 것을 시공해도 된다. 아니면 각형파이프를 분체도장 같은 것으로 해도 좋을것이다. 어느정도 그 틈으로 물이 튀는것은 문제는 없다. 어차피 통기층 구조이기에 그로 인해 빗물로 인해 단열재가 젖거나 하는 위험은 상대적으로 적다.


공기층에 점선으로 경질단열재 옆에 추가적으로 그린것은 틈없이 단열재로 충진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의미에서 이다.


창호 프레임이 골조위에 있기에 단순하게 별도의 철물이 없이 창호고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내부의 빨간선은 방습겸 기밀테이프이며 외부의 창틀과 골조 사이의 파란색은 투습 겸 방수용 테이프가 된다.


측면을 후레싱 재질로 하기에 어느정도 마감재의 오차를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통 프레임의 폭을 보면 가장 스텐다드이기에 만일 실내표면이 타일마감이 되면 창호가 열리는데 문제가 있기에 보통은 폭이 깊은 것을 사용하게 되는데 질문하신 분의 디테일을 보면 이 문제를 인지하셨기에 창틀을 덮는 마감이 아니라 창틀뒤로 마감재가 마감이 되는 것으로 해결을 했습니다. 일반적인 경우는 스탠다드 폭으로 가능하지만 화장실과 같은 타일이 설치되는 곳은 폭이 깊은 창틀을 사용하거나 아니면 힌지가 외부돌출이 아니라 일체형을 사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안쪽 석고보드에 코너비드 비드사용함)

(아랫면이 실내) 플라스틱 창호의 단면도



외부마감을 이용하여 창문의 틀을 감출수가 있다.